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주간동아]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감독 ‘마루 밑 아리에티’

기발한 상상력 따라가다 가슴이 뭉클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감독 ‘마루 밑 아리에티’


심영섭 영화평론가•대구사이버대 교수 chinablue9@hanmail.net" target="_blank">chinablue9@hanmail.net  
 

일본 애니메이터 ‘미야자키 하야오’와 ‘다카하타 이사오’ 중 누가 더 좋은지 물어보는 것은 기타리스트 ‘지미 헨드릭스’와 ‘에릭 클랩튼’ 중 누가 더 좋은지, 또는 코미디언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 중 누가 더 좋은지 묻는 것과 비슷하다. 두 사람은 애니메이션의 명가 ‘지브리 스튜디오’를 이끌며 일본 애니메이션계의 황금기를 누렸다.

 

 

thumbnails

영화 ‘마루 밑 아리에티’는 제작은 미야자키 하야오가 했지만 감독은 다카하타 이사오인 듯한 이중적인 느낌을 준다. 웅혼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하야오에 비해 ‘빨간 머리 앤’ ‘추억은 방울방울’ ‘이웃집 야마다군’을 연출한 이사오 감독은 아기자기하고 섬세하기로 유명하다. 그런데 ‘마루 밑 아리에티’가 딱 그렇다. 빨간 머리 앤이 소인(小人)으로 빙의한 듯한 10cm의 빨간 머리 소녀 아리에티와 심장병을 앓는 소년 쇼우의 우정은 하야오의 플롯이나 그림체라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섬세하고 잔잔하다.

 

일본의 고택. 심장병에 걸린 쇼우는 방학을 맞아 외할머니 댁에 놀러 온다. 그 집의 마루 밑에는 인간에게 자질구레한 물건을 빌려 쓰며 살아가는 소인족 ‘아리에티 가족’이 있다. 고양이나 생쥐의 위협이나 인간의 눈을 피해야 하는 고단한 삶에도 아리에티 가족은 각설탕, 휴지, 과자 등을 인간에게 몰래 빌려 쓰며 아기자기한 삶을 영위한다. 어느 날 어머니의 생일선물로 월계수 꽃을 꺾던 아리에티는 쇼우의 눈에 띄면서, 인간에게 절대 들키면 안 된다는 가족의 계율을 지킬 수 없게 됐다. 이제 아리에티는 쇼우를 만나러 위험천만한 모험을 감수한다.

 

자상하지만 근엄한 아버지, 명랑하고 낙천적인 어머니. 모험심 강하고 의지가 굳은 딸 아리에티는 일본의 전통가족을 저절로 떠오르게 한다. 일본 영화나 문학에 자주 나오는 다소 이상화된 전통가족은 그러나 애니메이션 속에서 의미심장하게도 ‘사멸’해가는 중이다. 아들이 심장병을 앓는데도 어머니가 바쁘다며 전혀 모습을 나타내지 않는 쇼우 가족은 분열되고 분자화한 현대의 일본 가족을 상징한다.

 

쇼우와 아리에티는 개인 또는 종족이, 개체 또는 계통이 지구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쇼우는 자신이 누리지 못하는 혈육의 온기를 지닌 이 소인 가족을 음으로 양으로 지켜주고 싶다. 쇼우가 준 각설탕은 소인 가족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 게다가 그가 아리에티 가족에게 주기를 바라는 인형의 집도 쇼우의 엄마가 소원하는 부엌을 지니고 있다.

 

특히 소인의 눈으로 본 인간의 확대된 세상이나, 작은 못이 계단이 되고 재봉 핀이 펜싱 검이 되는 소인국만의 독특한 생활방식은 ‘신드바드의 모험’이나 ‘애들이 줄었어요’ 같은 공상과학 영화를 다시 체험하는 듯 기발한 상상력으로 채워져 있다. 다만 ‘마루 밑 아리에티’의 마지막은 뭔가 허전하고 허무하다. 쇼우가 심장병을 앓는다는 설정도, 아리에티 가족의 위기도 담담한 플롯에 묻혀 이전의 지브리 애니메이션을 보는 것 같은 감흥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그럼에도 ‘마루 밑 아리에티’를 보면 행복해진다.

 

이 작품으로 데뷔한 요네바야시 히로마사 감독은 수작업의 질감을 최대한 살린 2D 셀 애니메이션으로 잊혀가는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의 향취와 세밀함을 되살려냈다. 할리우드가 양산하는 3D 디지털 애니메이션이 주류가 돼가는 상황에서, 소인국 주인공들도 일본의 전통 집도 그리고 셀 애니메이션 기법도 모두 점점 사라져가는 이 시대에 아리에티를 다시 본다는 것은 아스라한 향수를 잡는 행위다. 모처럼 어린 시절 TV만화를 추석 극장에서 보는 듯한 낡은 필름의 냄새에 저절로 취하게 될 것이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0-11-30

조회수6,562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292[남유랑의 시네마 크리티크] ― 정주와 여행, 그 어느 편도 될 수 없는 <소공녀>의 존재양식, 그리고 우리의 실존에 대한 물음.

서성희

2018.10.096,935
291 [서성희의 시네마 크리티크] 짝사랑 열병을 앓는 이태경의 얼굴 <제 팬티를 드릴게요>

서성희

2018.10.095,993
290[정동섭의 시네마 크리티크]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 ― 비루한 세상에 맞선 철학

서성희

2018.10.095,588
289[장석용의 시네마 크리티크]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의 <산책하는 침략자, Before We Vanish> - 외계인의 지구침략을 가정한 언어공포물

서성희

2018.10.096,619
288[이수향의 시네마 크리티크] 만들어진 가족과 도둑맞은 가족-영화 <어느 가족>

서성희

2018.10.097,570
287[서곡숙의 시네마 크리티크] <비포 선라이즈> ― 관계에 대한 성찰의 여정과 사랑의 서막

서성희

2018.10.096,312
286[최재훈의 시네마 크리티크] 가면의 쌩얼 - <프랭크>

서성희

2018.10.096,748
285[이호의 시네마 크리티크] 백범을 만드는 힘과 배치들 ― 영화 <대장 김창수>

서성희

2018.10.096,897
284[안숭범의 시네마 크리티크] 차이의 효과, 혹은 홍상수의 여자: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클레어의 카메라>

서성희

2018.10.096,219
283[정재형의 시네마 크리티크] 무의미의 의미, 실존적 부도덕 인간의 부활 - 요르고스 란디모스 감독 <킬링 디어>

서성희

2018.10.096,967